서울시 자동차 에코마일리지로 현금 최대 8만원 지급 받기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승용차 에코마일리지를 통해 현금을 지급 받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코마일리지란

서울시에서 탄소 중립 실천을 위해 서울시에 등록된 자동차의 주행 거리 감축 정도에 따라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1년 단위로 평가해 감축 정도에 따라 2만~7만 마일리지를 차등 지급 하고 있습니다.
감축이 되지 않더라도 서울시 연평균 주행 거리 10,183km 이하로 운행하면 1만 마일리지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기준은 매년 변할 수 있습니다.)

신청하기

우선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사이트에 가입해야 합니다.
오른쪽 위 메뉴 아이콘을 눌러 가입을 진행 합니다.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사이트 링크

에코마일리지
서울시 사이트 링크

가입이 완료되면 다시 오른쪽 위 메뉴 아이콘을 눌러 차량 등록을 진행 합니다.
차량 등록이 완료 되면 “주행거리 최초등록”을 진행해야 합니다.
등록 기간은 따로 없어 바로 등록하시면 됩니다.
사진 2장이 필요한데요, 차량 번호판이 나오는 전면 사진과 주행 거리가 나오는 계기판 사진이 필요 합니다.

에코마일리지

여기까지 진행 하셨으면 신청이 완료 됐습니다.
1년 후에 실적을 등록하면 감축량에 따라 마일리지를 지급 받게 됩니다.
1년이 되기 전에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실적 등록 안내가 옵니다. 그 때 실적 등록을 하시면 됩니다.
최초 등록 시에는 차량 등록일부터 제출일 까지의 연평균 주행 거리로 계산이 되고,
2년차 부터 이전 등록된 자료를 근거로 마일리지 계산이 됩니다.

마일리지 지급 기준 및 사용처

마일리지 지급 기준

기준 주행 거리 대비 주행 거리 감축률(또는 감축량)에 따라 마일리지를 차등 지급 합니다.
두 조건 중 회원에 유리한 기준으로 적용 됩니다.

에코마일리지
마일리지 지 기준. 출처 :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사이트

마일리지는 매년 홀수 달 평가해 지급 됩니다. 실적을 등록한 달의 1~2개월 후 지급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필자의 실제 마일리지 지급 실적

저희 집에는 2대의 차량이 등록되어 있는데요, 운행 거리가 짧다 보니 2대 모두 7만 마일리지, 총 14만 마일리지를 지급 받았습니다.
서울사랑상품권으로 전환해서 유용하게 쓸 계획입니다 ^^

에코마일리지 지급

마일리지 사용처

받은 마일리지는 현금으로 전환할 수도 있고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기부
  • 현금 전환 및 지방세 납부
  • 온누리상품권
  • 모바일 도서문화상품권
  • 지류 도서문화상품권
  • 아파트 관리비 납부
  • 서울사랑상품권

계절 관리제 특별 포인트

에코마일리지는 연간 단위로 평가가 되는데 계절로 평가되는 계절 관리제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등록 기간

계절 관리제는 미세 먼지 고농도가 빈번히 발생되는 매년 12월~3월(4개월)에 시행됩니다.
시작 주행 거리 등록 기간은 매년 11월 1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입니다.

지급 기준

12월 ~ 3월간 서울시 평균 주행 거리의 50%인 1,697km 이하로 운행하면 1만 마일리지가 지급 됩니다. (5월 중 지급)
두 제도는 중복으로 마일리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에코마일리지를 바로 등록하시고 11월에 계절 관리제까지 등록하시면 최대 8만 마일리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